안녕하세요~~ 오늘은 변수 및 타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변수
변수란 말 그대로 변하는 수입니다!
예를들어 number이라는 변수에 3을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서
number에 5를 저장할 수도 있겠죠?
즉, number의 값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 이를 변수라고 일컫습니다.
바로 본론으로 넘어가봅시다!
= int형의 number라는 변수에 100이라는 값을 저장했다 라는 의미입니다.
자 여기서 number는 변수라는 건 대충 알겠는데, int형은 뭐야? 라고 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자료형을 정리하겠습니다.
자료형은 말 그대로 그 변수(혹은 함수 구조체 클래스)가 가질 수 있는 데이터 형태입니다.
ex) 숫자를 예로들어 봅시다.
두 개의 숫자 100, 3.14 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두 숫자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100은 정수
3.14는 실수죠? // 아 물론 정수는 실수안에 포함되어 있어서 코딩할 때도 같은 원리로 동작합니다.
여기서 int형은 정수형, float이나 double은 실수형의 타입입니다.
따라서 본인이 정수를 저장하고 싶다 하면 변수 타입을 int로, 실수를 저장하겠다 하면 float이나 double로 선언하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자료형을 나눠놨나?에 대해서 의문이 드실겁니다.
바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서입니다.
예를들어 저의 메모리가 100칸의 공간만큼 있다고 가정합시다.
int형 number이라는 변수는 4칸의 공간을 차지합니다. number에 정수 100을 할당했더니
할당된 4칸의 공간에서 1칸의 공간밖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전체 메모리 100 중 4칸을 사용하는 것은 낭비아닌 낭비일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효율적인 메모리 공간 이용을 위해서 자료형은 반드시 알맞게 써주셔야 합니다!
2. 타입
타입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short
int
float
double
char
bool
정도가 있습니다.
※ 타입의 크기를 반환하는 메소드 : sizeof(타입이름) or sizeof(변수명)
네 이렇게 실행을 하면 각 자료형의 크기를 리턴 받아서 출력합니다. 따라서 결과는
이렇게 나옵니다.
컴퓨터에서 1 byte는 8 bit죠? 8 bit로 표현할 수 있는 수는 2^8이니까 256개가 됩니다.
따라서 short형같은 경우에는 표현할 수 있는 수가 2^16 = 65536개입니다.
하지만 음수를 포함하는 값이므로 나누기 2를 해주시면
short 같은 경우 -32768 ~ 32767 까지 수를 담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short 자료형의 변수에 33000이라는 수를 대입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3. 변수의 타입 크기를 알고 싶을 때
앞서 배운 내용과 마찬가지로 sizeof 함수를 이용하여 타입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간단한 연산 + - * /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Computer Science > C,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7강 수학 sin cos tan sqrt lob abs 이용하기! (0) | 2020.07.30 |
---|---|
[C++] 6강 형변환 타입캐스팅 type casting (0) | 2020.07.30 |
[C++] 5강 사용자 입력 받기 + 연산자(사칙연산, 제곱, 나머지) (0) | 2020.07.30 |
[C++] 4강 간단한 문법 및 줄바꿈, 탭 (0) | 2020.07.30 |
[C++] 2강 프로젝트 생성 및 Hello world 출력 (0) | 2020.07.29 |